▲ 국보 제37호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慶州 皇福寺址 三層石塔)
▲ 국보 제37호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慶州 皇福寺址 三層石塔)
▲ 국보 제37호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慶州 皇福寺址 三層石塔)
국보 제37호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慶州 皇福寺址 三層石塔)
소재지 경북 경주시 구황동 103
신라 신문왕이 돌아가신 후 그 아들인 효소왕이 아버지의 명복을 빌고자 세운 탑으로, ‘황복사지석탑’으로 불리기도 한다.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며,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국보 제112호)이나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 제38호)에 비해 작아진 규모이다.
기단의 양식은 두 탑과 거의 비슷하나, 기단의 각 면에 새겨진 가운데 기둥이 3개에서 2개로 줄어들어 있다. 탑신부도 여러개의 돌로 짜맞추는 대신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어, 달라진 석탑의 양식을 보여준다. 지붕돌은 윗면이 평평하고 네 귀퉁이가 살짝 올라가 경쾌하며, 밑면에는 5단의 받침을 두었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의 받침돌인 노반(露盤)만이 남아있다.
효소왕 1년(692)에 세워진 탑으로, 이후 효소왕의 뒤를 이은 성덕왕이 즉위한 지 5년만인 706년에 사리와 불상 등을 다시 탑안에 넣어 앞의 두 왕의 명복을 빌고, 왕실의 번영과 태평성대를 기원하였다. 1943년 탑을 해체하여 수리하면서 2층 지붕돌 안에서 금동 사리함과 금동 불상 2구를 비롯하여 많은 유물을 발견하였는데, 그중 사리함 뚜껑 안쪽에 탑을 건립하게 된 경위와 발견된 유물의 성격이 기록되어 있어 탑의 건립 연대와 조성 의도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되었다.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모습이면서도 전기 석탑양식의 변화과정이 잘 담겨져 있어 소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문화재청>
|
|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자료 더 보기> http://blog.daum.net/bori-yo/2486
'문화재와 여행 > 어딜 다녀왔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환 추기경의 생가에 핀 코스모스가 방문객에게 잔잔한 미소를 보낸다 / 2012.10.02. 군위읍 용대리 238 (0) | 2012.10.03 |
---|---|
경주보문동연화문당간지주 부근에는 가을이 황금색으로 영글어 간다 / 2012.09.28. 舊 보문사지연화문당간지주 (0) | 2012.09.30 |
안강 가는 길에 경주양동마을에 들리다 / 2012.09.26. 경주시 강동면 (0) | 2012.09.29 |
안개낀 보문동으로 아침 산책을 가다 / 2012.09.23. 경주보문동연화문당간지주 주변 (0) | 2012.09.23 |
선운사(禪雲寺) 경내로 잠깐 들어가다 / 2012.09.20.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 (0) | 2012.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