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 22

[쇠백로 관찰] 쇠백로는 황로, 해오라기 등과 비슷한 높이의 나무에 둥지를 만들며, 부리는 검고 뾰족하여 물고기를 잡기에 알맞다 / 토함

쇠백로의 다리는 검은색이지만 발가락은 노란색이다. 손짓 사람은 생후 9개월쯤이면, 그러니까 걸음마나 말을 떼기도 전에 이미 손짓을 시작한다. 물론 태어난 직후에도 손짓을 하지만 이 동작이 의미를 띠기 시작하는 것은 9개월이 지나서다. 손짓은 신기한 몸짓이다. 어떤 다른 동물도 손짓을 하지 않는다. 손이 있는 동물이라도 마찬가지다. - 브라이언 헤어, 버네사 우즈의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중에서 - 쇠백로 - Daum 백과 쇠백로 • 백로류 중 가장 작고, 몸은 순 백색이다. • 부리는 검고 뾰족하여 물고기를 잡기에 알맞다. • 하천의 가장자리, 강가, 해안, 하구, 논 등지에서 빠르게 움직이며 물고기, 연 100.daum.net [황로·누른물까마귀] 번식기의 황로는 머리에서 뒷목, 앞가슴에 등황색 깃..

[경주 천관사지(慶州 天官寺址)] 통일신라 전기에 있던 절로, 김유신과 천관이라는 기생의 이야기가 전해온다 / 토함

사적 제340호 경주 천관사지(慶州 天官寺址) 소재지 경북 경주시 교동 244번지 도당산 서쪽 기슭 논 가운데에 있는 절터로서 현재 석재와 기와조각들만 남아 있다. 통일신라 전기에 있던 절로, 김유신과 천관이라는 기생의 이야기가 전해온다. 청년시절에 김유신은 천관이라는 기생과 사랑에 빠져 지내다가, 어머니의 꾸중으로 다시는 만나지 않겠다고 맹세를 한다. 어느날 말이 술에 취한 유신을 천관의 집 앞으로 데려가자, 유신은 말의 목을 베고 냉정하게 천관을 뿌리친다. 이를 슬퍼한 천관이 자살을 하고, 후에 유신은 천관이 살던 집에 천관사를 지어 그녀의 명복을 빌어 주었다고 한다. 경주 천관사지 팔각삼층석탑(230905) 유튜브 영상 바로가기 https://youtu.be/HgwaUN4NbV8?si=r37Sw7G..

[매직 아워에 보는 '경주 월정교'] 경주 월정교 야경 영상을 다시 보다 / 토함

교실의 날씨 교실에서 아이들과 함께하고 계시는 선생님은 아이들 가슴속에 북극성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하임 기너트의 '교실을 구하는 열쇠'라는 책에서 "교사는 그날 교실의 날씨를 좌우한다. 흐리게도 맑게도." 대략 이런 뜻의 글을 읽은 기억이 있네요. - 윤태규의 《우리 아이들, 안녕한가요》 중에서 - 월정교 magic hour(230905) 유튜브 영상 바로가기 https://youtu.be/tE-xdY_Vf-I?si=NYahcKWgB-KiGlDl

[붉은어깨도요] 붉은어깨도요는 갯지렁이, 조개류, 갑각류 등을 먹는다 / 토함

흥미진진한 이야기 나는 어떤 이야기도 그럴듯하게 만들 수 있다. 정말이지 허접한 이야기도 흥미진진하게 바꿀 수 있다. 그런데 각색을 한다고 모든 이야기가 훌륭해지지는 않는다. 가장 훌륭한 이야기는 실화다. 불필요한 부분들만 깔끔하게 정리하면 누구든 이야기를 잘할 수 있다. - 숀다 라임스의《1년만 나를 사랑하기로 결심했다》중에서 - [붉은어깨도요 vs 붉은가슴도요] 붉은어깨도요와 붉은가슴도요를 비교 관찰하다 / 토함 (tistory.com) [붉은어깨도요 vs 붉은가슴도요] 붉은어깨도요와 붉은가슴도요를 비교 관찰하다 / 토함 100.daum.net/encyclopedia/view/120XX35400239 붉은어깨도요 시베리아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대향 '이중섭' 레플리카展] 꺼지지 않는 예술혼, 대향 '이중섭'의 레플리카展을 다시 보다 / 토함

꽃이 별을 닮은 이유 꽃이 별을 닮은 이유는 밤마다 별을 보고 별을 꿈꾸기 때문이다 별을 보며 하늘 꽃밭을 꿈꾸고 별이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서도 오직 별만 사랑하기 때문이다 - 권효진의 시집 《카덴자의 노래》 에 실린 시 〈꽃이 별을 닮은 이유〉 전문 - 대향 이중섭 레플리카전(230708) 유튜브 영상 바로가기 https://youtu.be/sdfbYHsRdHk

[경주 형산강의 새들] 최근 형산강에서 만난 새들의 이미지와 영상을 모아보다 / 토함

나쁜 습관이 가져다주는 것 불행 가운데 혹 습관이 만들어낸 불행은 없을까요? 제 인생엔 타자와 외부로부터 온 불행도 있지만 분명 나 스스로 만들어낸 나쁜 습관으로 인한 불행도 많았습니다. 무심히 쌓은 좋은 습관이 행운과 성공을 불러온다는 것을 사람들은 압니다. 마찬가지로 그저 대수롭지 않은 습관일 뿐이라 변명해왔던 나쁜 버릇이 계속 쌓이면 결국 인생에 돌이킬 수 없는 불행을 초래합니다. - 한동일의《한동일의 라틴어 인생 문장》중에서 - 물닭과 알락오리(231208) 유튜브 영상 바로가기 https://youtu.be/3qlqNO786eE?si=K7ZX_ONy38BYlRPa 큰기러기&큰고니(231125) 유튜브 영상 바로가기 https://youtu.be/jcMvvmm9cIA?si=yJqV1uLh-U4jK..

[경주 원원사지 동·서 삼층석탑(慶州 遠願寺址 東·西 三層石塔)] 경주 원원사지 동ㆍ서 삼층석탑은 사적 경주 원원사지 안에 있다 / 토함

경주 원원사지 동·서 삼층석탑 (慶州 遠願寺址 東·西 三層石塔)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at Wonwonsa Temple Site, Gyeongju 소재지 경북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산12-3번지 동·서 쌍탑의 경주 원원사지 동ㆍ서 삼층석탑은 사적 경주 원원사지 안에 있다. 원원사(遠願寺)는 삼국유사에 의하면 밀교(密敎)를 계승한 안혜(安惠)ㆍ낭융(朗融) 등이 김유신ㆍ김의원ㆍ김술종 등과 뜻을 모아 호국의 사찰로 창건하였다고 한다. 동ㆍ서 삼층석탑(높이 약 7m)은 도괴되어 있던 것을 1931년 가을(조선건축사론 중 경주를 중심으로 한 신라시대 일반형 삼층석탑론(건축잡지 1933.11월호. 藤島亥治郞)에 경주고적보존회에서 복원하였다. 두 탑은 같은 구조와 양..

[흰뺨오리와 흰비오리 비교] 흰뺨오리 수컷, 흰비오리 수컷과 암컷을 사진으로 비교하다 / 토함

마음의 문이 열릴 때까지 신은 우리 마음의 문이 활짝 열릴 때까지 끊임없이 반복해서 부숴뜨린다. 영혼의 어두운 밤을 통과하지 않고서는, 당신이 믿었던 모든 것들과 과거에 했던 모든 생각들을 완전히 소멸하지 않고서는 다시 태어날 수 없다. (하즈라트 이나야트 칸) - 미셸 하퍼의 《부서져도 살아갈 우리는》 중에서 - 초겨울에 만난 새들(231201-04) 유튜브 영상 바로가기 https://youtu.be/h3nqxo0i0Ps?si=n7VdoggYIHjSpSRh

[말똥가리] 요즘 하늘을 올려다보면 '말똥가리'가 자주 목격된다 / 토함

상처에 빠져 허우적거릴 때 자기 상처에 빠져 허우적거릴 필요는 없지만 상흔이란 아름답고 또 아름다운 것이다. 상처가 없으면 그리움도 없나니 그리움을 위해서라도 가끔은 상처를 받아라. - 소강석의 시집《사막으로 간 꽃밭 여행자》에 실린 시〈상처〉중에서 - '말똥가리' 해설 바로가기 말똥가리 - Daum 백과 말똥가리 시베리아 중부에서 오호츠크해연안, 몽골,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쿠릴열도 남부,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남부, 일본,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한다. 흔한 겨울철새이며, 100.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