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2 50

[재두루미 먹이터] 겨울 철새들을 위한 먹이터에 흑두루미, 재두루미, 쇠기러기, 캐나다두루미들이 모여들다 / 토함

100.daum.net/encyclopedia/view/120XX35400189 캐나다두루미 북아메리카 북부와 시베리아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북아메리카 중부와 남부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매우 희귀한 겨울철새로 단지 몇 개체만이 월동한다. 경기 파주, 강원 철원평야, 충 100.daum.net 100.daum.net/encyclopedia/view/120XX35400192 재두루미 극동아시아에서만 분포하는 종으로 몽골 동부, 러시아와 중국 국경지역에서 번식하고, 중국 양쯔강 유역, 한국, 일본 이즈미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대부분 철원평야, 임진강 하구, 100.daum.net 100.daum.net/encyclopedia/view/120XX35400191 흑두루미 러시아의 아무르 유역과 중국 북동부..

[쇠기러기 편대] 하얀색 이마가 돋보이는 쇠기러기 비행편대를 보다 / 토함

급할수록 천천히 빠르게 가고 싶다면, 일은 원인부터. 공부는 기초부터. 사랑은 나부터. 만남은 작은 것부터. 그렇게 속사정부터 알고 하나하나 다져갔으면 합니다. 그것이 가장 빠르고 바른 길이지 않을까 합니다. 새삼스레 느끼게 됩니다. '급할수록 천천히'라는 말.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 급할수록 조급해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 - 정영욱의《나를 사랑하는 연습》중에서 - blog.daum.net/bori-yo/11208 [쇠기러기와 큰기러기의 비교] 쇠기러기는 이마가 흰색으로 큰기러기와 쉽게 구별된다 / 토함 100.daum.net/encyclopedia/view/120XX35400044 쇠기러기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그린란드의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유럽 중부, 중국,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중부에..

[귀로(歸路)] 봄맞이 가는 길에 ..., 오갈 곳이 있다는 게 행복이다 / 토함

더 이상 버틸 힘이 없을 때 우리는 계속 질문을 던지게 된다. 삶의 끝에는 무엇이 승리하게 될까? 더 이상 버틸 힘이 없어졌을 때 어떻게 치유될 수 있을까? 그 순간에 나는 어떤 모습을 보일까? 치유자일까, 아니면 치유를 바라는 사람일까? 내가 치유를 바라는 사람이라면,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조앤 치티스터의《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중에서 -

[봄을 여는 꽃들] 산들산들 부는 봄바람을 쐬러 나온 복수초, 노루귀, 올괴불나무 꽃, 얼레지를 만나다 / 토함

'정말 힘드셨지요?' 많은 경우, '해답을 줘야 한다' 혹은 '걸맞은 말을 해야 한다'라는 부담감은 공감의 장애물로 작용하기 쉽다. '뭔가 적합한 말을 찾기 어렵다'라는 두려움 때문에, 대수롭지 않은 척 무시하거나 화제를 돌리거나 머쓱해져서 자리를 피하게 된다. 마법의 말 따위는 필요 없다. 그저 "정말 힘들었겠구나." 정도로도 충분하다. - 브레네 브라운의《나는 왜 내 편이 아닌가》중에서 -

[말똥가리] 겨울 나그네새인 말똥가리는 암수가 짝을 지어 생활하고 농경지, 야산, 하천부지 등에서 들쥐나 작은 새, 메뚜기 같은 곤충 등을 사냥한다 / 토함

100.daum.net/encyclopedia/view/120XX35400167 말똥가리 시베리아 중부에서 오호츠크해연안, 몽골,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쿠릴열도 남부,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남부, 일본,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한다. 흔한 겨울철새이며, 100.daum.net blog.daum.net/bori-yo/11109 [큰말똥가리] 큰말똥가리는 유연한 날개깃으로 천천히 날면서 땅 위의 먹이를 찾는데, 주로 쥐, 100.daum.net/encyclopedia/view/120XX35400168 큰말똥가리 남시베리아, 몽골, 만주 서부, 중국 중부, 티베트에서 번식하고, 인도 북부, 히말라야, 중국 동부, 한국에서 월동한다. blog.daum.net

[쇠기러기와 큰기러기의 비교] 쇠기러기는 이마가 흰색으로 큰기러기와 쉽게 구별된다 / 토함

100.daum.net/encyclopedia/view/120XX35400044 쇠기러기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그린란드의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유럽 중부, 중국,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중부에서 월동한다. 지리적으로 5아종으로 나눈다. 다소 흔한 겨울철새이며, 보통 100.daum.net blog.daum.net/bori-yo/11190 [형산강 큰기러기] 큰기러기는 무리를 이루어 월동하며 농경지나 습지에서 벼이삭, 잡초, 목초 100.daum.net/encyclopedia/view/120XX35400042 큰기러기 유라시아대륙 북부의 개방된 툰드라 저지대에서 번식하고, 유럽 중·남부, 중앙아시아, 한국, 중국의 황하, 양쯔강 유역, blog.daum.net

[경북 동해안 나그네새, 흰줄박이오리] 경북 동해안에서 만난 겨울철새 흰줄박이오리가 노니는 모습을 관찰하다 / 토함

모든 싸움은 사랑 이야기다 "찌를 수도 있지만 껴안을 수도 있는 관계, 상처를 줄 수도 있지만 치유를 할 수도 있는 관계가 삶에서 가장 중요한 관계이다. 싸움을 하는 동안에는 못난 말들이 튀어나오고 찡그린 표정이 나오지만, 그 속에는 서로에게 인정받고 사랑받고 싶은 연약한 마음이 들어 있다. 그래서 싸움은 서로의 가장 여린 부분을 보듬을 기회를 주기도 한다. 모든 싸움은 사랑 이야기다." - 정은혜의《싸움의 기술》중에서 - blog.daum.net/bori-yo/11198 [흰줄박이오리] 경북 동해안 나그네새 '흰줄박이오리', 잠수해 갑각류와 조개류를 잡아먹으며 해 100.daum.net/encyclopedia/view/120XX35400080 흰줄박이오리 시베리아 동부, 캄차카, 알래스카에서 북아메리카..

[흰꼬리수리] 해안, 하구, 하천 등지에서 서식하는 겨울 나그네새인 천연기념물 243-4호 흰꼬리수리는 주로 물고기를 먹으며 썩은 동물 사체도 먹는다 / 토함

100.daum.net/encyclopedia/view/120XX35400153 흰꼬리수리 유라시아대륙의 북반부에 폭 넓게 분포한다. 2아종으로 나눈다. 해안, 하구, 하천 등지에서 서식하는 드문 겨울철새다. 10월 초순에 도래하고 3월 하순까지 머문다. 하구, 넓은 농 100.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