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괴불나무 / 2009.05.08. 구미산 청괴불나무 [靑─ Lonicera subsessilis]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관목. 인동과의 낙엽 활엽 관목. 괴불나무와 비슷하나 줄기의 껍질이 희고 잎에는 털이 있다. 높이는 2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다. 6월에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둥.. 들로 산으로/무슨 꽃을 보았니? 2010.01.23
괴불나무 / 2009.05.08. 구미산 괴불나무 [Lonicera maackii]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 관목. 높이는 5~6 미터이며, 줄기는 속이 비어 있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에서 2~3송이씩 줄지어 피는데,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점점 노란색으로 변한다. 꽃부리는 위쪽.. 들로 산으로/무슨 꽃을 보았니? 2010.01.23
보리사 / 2010.01.16. 경주 남산 보리사에서 동쪽으로 멀리 내려다 보면 선덕여왕이 잠들어 있는 낭산이 남북으로 길게 누워 있고, 사천왕사·망덕사·황룡사도 한 눈에 들어온다. 신라시대의 보리사터로 추정되는 곳(경북 경주시 배반동 산66-1)에 보리사가 있다. 아래 사진은 종각 부근에서 찍은 보물 제136호 경주남산미륵곡석불좌..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1.23
애기송이풀 / 2009.04.11. 경주 애기송이풀 [Pedicularis ishidoyana]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깃모양 겹잎이다. 5~6월에 입술 모양의 붉은 보라색 꽃이 한두 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10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중부 지방에 분포한다. <다음 국어사전> 들로 산으로/무슨 꽃을 보았니? 2010.01.23
타래난초 / 2009.06.27-07.11. 경주 산내면 타래난초 [Spiranthes sinensis] 난초과(蘭草科 Orchid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키는 30㎝ 정도 자란다. 잎은 줄기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점 작아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기부는 줄기를 감싼다. 연분홍색의 꽃은 5~8월경 줄기 끝의 수상(穗狀)꽃차례로 풀린 용수철처럼 꼬이며 핀다. 투구처럼 생긴 꽃은 .. 들로 산으로/무슨 꽃을 보았니? 2010.01.22
물레나물 / 2009.07.05. 참솔 물레나물 [Hypericum ascyron] 물레나물과(―科 Hyperic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해가 잘 비치는 산기슭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는 네모지며 키가 1m까지 자라는데, 윗면은 초록색이나 아랫면은 갈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잎끝이 줄기를 싼다. 잎에는 투명한 점들이 있다. 꽃은 노란색이며 6~8월에 줄기 끝에 1송.. 들로 산으로/무슨 꽃을 보았니? 2010.01.22
쉬땅나무(개쉬땅나무) / 2009.07.05. 참솔 쉬땅나무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관목. 개쉬땅나무라고도 함. 키가 5~6m 정도이며 뿌리는 땅속줄기처럼 옆으로 뻗고, 잎은 어긋나며 잔잎 13~23장이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달린다. 잔잎의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별 모양의 털이 있다. 흰색의 작은 꽃은 6~7월.. 들로 산으로/무슨 꽃을 보았니? 2010.01.22
개감수(개-甘遂) / 2009.07.11. 참솔 개감수 [-甘遂 Euphorbia sieboldiana]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40㎝. 여러해살이풀로서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는 수염뿌리이며 줄기는 가늘고 긴 원기둥꼴이며 곧게 서고 성기게 갈라져 홍자색을 띠며 절단하면 흰 즙액(汁液)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짧고 긴타.. 들로 산으로/무슨 꽃을 보았니? 2010.01.22
국립경주박물관 입구에 전시된 '탑신석(塔身石)' / 2009.12.28. 경주 탑신석(塔身石) [명사]<건설> 같은 말: 옥신석(屋身石). 옥신석(屋身石) 돌탑에서 각 층을 이루고 있는 돌. 몸돌. 석탑(石塔)의 몸체를 이루는 돌. * 탑신석(=옥신석)을 우리말로 쉽게 표현해서 '탑몸돌'이라고 하면 되겠습니다.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1.22
'기단석'과 '목조건축의 기단부 명칭' / 2009.12.09. 국립경주박물관 기단-석(基壇-石) 건축물이나 비석 따위의 기초로 쌓는 돌. 갑석(甲石) 기단의 기둥과 면석을 덮는 돌 면석(面石) 기둥과 기둥 사이의 넓은 돌 탱주석(撑柱石) 면석과 면석 사이에 세운 돌기둥 우주석(隅柱石) 모서리에 세운 돌기둥 지대석(地臺石) 땅과 맞닿는 곳에 놓인 돌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0.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