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황사의 가을] 경주 분황사에도 가을이 곱게 내려앉다 / 2012.11.01. 국보 제30호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등 국보 제30호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慶州 芬皇寺 模塼石塔) 소재지 경북 경주시 구황동 312 현재 남아있는 신라 석탑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걸작품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모전석탑(模塼石塔)이다. 원래 9층이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지금은 3층만 남아있다. 탑은 넓직한 1단.. 문화재와 여행/문화재 다시 보기 2013.11.03
[불국사 당간지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46호 불국사 당간지주(佛國寺 幢竿支柱) / 2013.11.02. 경주 불국사 ▲ 불국사 당간지주(佛國寺 幢竿支柱)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46호 불국사 당간지주(佛國寺 幢竿支柱) 소재지 경북 경주시 진현동 15-1 불국사 경내 입구 대석단 앞에 동서방향으로 2쌍이 나란히 서있다. 두 쌍의 당간지주 가운데 서편 당간지주는 좌우 기둥의 크기와 제작수법에 차이가 .. 문화재와 여행/문화재 다시 보기 2013.11.02
[황남대총 벌초] 경주 황남대총의 벌초(금초)하는 모습을 지켜보다 / 2013.10.15. 경주 대릉원 ▲ 황남대총 ▲ 그림을 클릭하여 확대하여 감상하세요. 문화재와 여행/문화재 다시 보기 2013.10.15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칠불암에 오르면 다른 세상이 보인다 / 2013.10.02-04. 경주 남산 칠불암 ▲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 국보 제312호 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 南山 七佛庵 磨崖佛像群)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남산동 산 36-4 지정일 2009.09.02 가파른 산비탈을 평지로 만들기 위해서 동쪽과 북쪽으로 높이 4m 가량되는 돌축대를 쌓아 불단을 만들고 이 위에 사방불(四方佛).. 문화재와 여행/문화재 다시 보기 2013.10.07
[왕룡사원 파노라마 사진] 다음엔 보물 제1615호 경주왕룡사원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봐야 겠다 / 2013.10.04. 경주시 강동면 ▲ 경주왕룡사원 무량수전은 파노라마로 담아왔으나 보물 제1615호 경주왕룡사원목조아미타여래좌상 자료를 담아오지 못한 우를 범하다. 문화재와 여행/문화재 다시 보기 2013.10.06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 경주 남산 상선암 뒤 마애대불은 현재 부석 제거 공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2013.10.01. 경주 남산 ▲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은 2013.10.01(화) 현재 공사 중이다. 문화재와 여행/문화재 다시 보기 2013.10.01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오랜만에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을 보러가다 / 2013.09.23. 경주 남산 ▲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보물 제199호 경주남산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慶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남산동 산36-4 경주 남산은 유물·유적의 보고(寶庫)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 가면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 후기까지의 불상들을 모두 만나볼 수 있다. 그 중에 .. 문화재와 여행/문화재 다시 보기 2013.09.23
[용장골 마애여래좌상]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의 원만한 얼굴에는 온화한 미소가 흐른다 / 2013.05.25. 경주 남산 용장골 ▲ 보물 제913호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慶州 南山 茸長寺址 磨崖如來坐像) 보물 제913호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慶州 南山 茸長寺址 磨崖如來坐像)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산1-1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87호)의 뒤쪽 바위벽에 새긴 마애.. 문화재와 여행/문화재 다시 보기 2013.09.22
[황룡사 9층 목탑의 심초석] 초석(礎石) 중 가장 중앙에 있는 초석을 심초석(心礎石)이라 한다 / 2013.09.19. 경주 황룡사지 ▲ 황룡사 9층 목탑지의 심초석 초석(礎石) 중 가장 중앙에 있는 초석을 심초석(心礎石)이라 한다. ▲ 황룡사 9층 목탑지의 심초석 문화재와 여행/문화재 다시 보기 2013.09.19
[연화문당간지주] 보문동연화문당간지주는 찾아갈 때마다 그 느낌이 다르다 / 2013.09.17. 경주보문동연화문당간지주 ▲ 경주보문동연화문당간지주 보물 제910호 경주보문동연화문당간지주(慶州普門洞蓮華文幢竿支柱) 소재지 경북 경주시 보문동 752-2 기도나 법회 등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사찰의 입구에 세워 부처와 보살의 성덕을 표시하는 기를 당(幢)이라 하며, 이를 달아매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 문화재와 여행/문화재 다시 보기 2013.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