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여행 (7) / 2011.01.18. 참솔 당신만의 영웅 당신이 미처 알아보지 못하고 있는 당신만의 영웅은 없는가? 당신의 삶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그 누군가에게 오늘 당장 감사의 뜻을 전하자. 그 영웅이 아니었다면 지금 당신의 삶이 어떻게 되었을지 생각해 보자. 그리고 당신도 누군가의 개인적인 영웅일 수 있다. 배려와 위..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2.20
하얀 외투를 입은 눈사람 / 2011.02.15. 경주 동부사적지 한 명 뒤의 천 명 "제 눈에는 고객이 한 분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제가 고객에게 서비스를 올릴 때는 고객 뒤에 계신 천 명의 또 다른 고객을 염두에 둡니다. 그리고 고객은 제 일생에 단 한 번 만나는 귀중한 분입니다. 소홀히 할 까닭이 없습니다." - 오세웅의《The Service 더 서비스》중에서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2.15
눈, 눈, 눈 ~ 그칠 줄 몰라요 / 2011.02.14. 경주 눈이 계속해서 내리고 있어요. 많은 사람들이 불편을 겪고 계시겠지요. 모두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도록 눈길 조심하시길 ...... 새 지도를 만든다 "잘못 든 길이 지도를 만든다." 아직 나 있지 않은 길을 가서 길을 만들어낸다는 뜻이다. 창의성은 새로운 길을 내는 것이다. 가끔 절벽을 만나기도 한다.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2.14
중국 여행 (6) / 2011.01.18. 참솔 좋은 울림 진심이 담겨 있건, 아니면 습관적으로 건넨 말이건 '감사합니다'라는 말에는 참 좋은 울림이 있다. 그 울림을 알게 된 이후부터 나는 모든 사람들과 모든 상황들, 모든 것들에게 감사하기 시작했다. 우선 나에게 감사하다. 오늘도 또 하루를 시작할 수 있어서 감사하다. 내곁에서 살아 숨쉬는..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2.12
중국 여행 (5) / 2011.01.17. 참솔 창조의 순간 순식간에 지나가는 생각, 특히나 구체적인 모든 심상을 포착하기란 쉽지 않다. 물론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그렇게 할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직관 혹은 영감이라는 개념이 매우 흥미진진한 이유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의식적인 생각을 세세히 포착하려 하지 않는다. 설사 시도..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2.12
중국 여행 (4) / 2011.01.17. 참솔 고이 간직할 이야기 "내 이야기를 들어줘서 고맙다. 이 이야기를 누군가에게 한 건 처음이란다. 아무에게도 이 이야기를 하지 못하고 죽을까봐, 그렇게 영영 이 이야기가 지구상에서 지워질까봐 두려웠어. 이제 네가 나를 위해 그 이야기를 고이 간직해주렴." - 파울로 코엘료의《브리다》중에서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2.09
중국 여행 (3) / 2011.01.17. 참솔 개척자 "무언가를 배운다는 것은 한 번도 알지 못했던 세계와 만난다는 의미야. 배우기 위해서는 겸허해야 해." - 파울로 코엘료의《브리다》중에서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2.09
중국 여행 (2) / 2011.01.16. 참솔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진정한 교감이란 상대방을 나에게 구속시키거나, 내가 상대에게 흡수되면서 이루어지는 게 아니다. 나만의 색과 상대의 색이 서로 만나 걸림 없이 묶일 때 진정한 교감은 이루어진다. 지금 내 곁을 지켜주는 모든 이들에게, 나는 그런 마음으로 미소를 지으며 말한다. 사랑합니..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2.09
중국 여행 (1) / 2011.01.18. 참솔 세상에서 가장 쉬운 일, 가장 어려운 일 그리스 철학자들의 우화, 첫 구절에는 이렇게 씌어 있었다. "이 세상에서 가장 쉬운 일이 무엇이냐고 물었더니 남에게 충고하는 일이고, 가장 어려운 일은 자기 자신을 아는 일이다"라는 것이었다. - 김선주의《이별에도 예의가 필요하다》중에서 - 중국 다녀온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2.02
팔각정터에서 바라본 상사바위와 금오정 / 2011.01.28. 경주 남산 미래 일기 도스토예프스키가 그랬다. "꿈을 밀고 가는 힘은 이성이 아니라 희망이며, 두뇌가 아니라 심장이다. 우리에겐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그 가능성을 스스로 믿는 만큼 성공하고 행복해지는 것이다." - 조혜련의《미래 일기》중에서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