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1451

뱀밥(쇠뜨기의 생식경) / 2009.03.28. 참솔

쇠뜨기 (양치식물) [Equisetum arvense, 뱀밥] 양치식물들로 이루어진 속새과(―科 Equiset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키는 20~40cm 정도 자란다. 옆으로 뻗으며 자라는 흑갈색의 땅속줄기에서 모가 진 땅위줄기가 나온다. 땅위줄기의 두 종류 중 하나는 포자를 만드는 생식줄기이며, 다른 하나는 포자를 형성하지 ..

국보 제30호 분황사석탑(芬皇寺石塔) 두번째 / 2009.11.15. 경주 구황동

'경주 분황사, 138m 회랑 갖춘 거대 사찰'(조인스 2008.12.12) 지금은 모전석탑(模塼石塔·돌을 깎아 만든 벽돌로 쌓아올린 탑)만 외로이 지키고 있는 경주 분황사 터.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선덕여왕 3년(634년)에 창건된 분황사는 신라 최고의 사찰 황룡사와 어깨를 겨룰 만큼 거대한 사찰이었다. 국보 제..

국보 제30호 분황사석탑(芬皇寺石塔) 첫번째 / 2009.11.15. 경주 구황동

국보 제30호 분황사석탑(芬皇寺石塔) 소재지 경북 경주시 구황동 312 현재 남아있는 신라 석탑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걸작품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모전석탑(模塼石塔)이다. 원래 9층이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지금은 3층만 남아있다. 탑은 넓직한 1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

1500년 전 신라 황금보검, 주인은 카자흐 사람일까

• 출처: [조인스 뉴스] 기사 본문 읽기 황금보검 철검(왼쪽)과 검집 장식. 신라의 전형적인 대도(大刀)는 칼의 한쪽 면에만 날이 있지만 황금보검은 양쪽에 날이 있다. 칼이 칼집에 꽂힌 채 발굴된 것을 분리했다. 유리와 석류석으로 장식된 검. 유리는 풍화돼 색이 다소 바랬다.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

창림사지 삼층석탑(昌林寺址三層石塔) / 2010.01.28.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昌林寺址三層石塔)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145 창림사지 삼층석탑(昌林寺址三層石塔)에서는 조선 순조(純祖) 24년 (1824)에 제작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수미(首尾)와 무구정광 원기(願記)가 발견되었는데 추사 김정희의 필적으로서 제명(題名)하였다.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