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3557

[산괴불주머니] 황금색을 띤 산괴불주머니를 담아보다 / 토함

잇몸에서 피가 나왔다? '도대체 왜 동갑인데 노화의 속도가 다른 걸까?' '무엇이 한쪽은 늙게 만들고 다른 한쪽은 젊게 만드는 것일까?' 내부에서 조용히 진행되는 만성염증을 정말 주의해야 한다. 사실 우리 몸에서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는 것을 보고 느낄 수 있는 곳이 있다. 다름 아닌 우리의 입이다. 양치질하다가 잇몸에서 피가 나온 적이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것이 바로 만성 염증이다. 피가 되어 흐르는 액체 안에는 세균과 싸운 면역세포의 사체가 가득하다. 그리고 그 면역 세포가 방출한 사이토카인은 혈관을 통해 온몸에 퍼진다. 몸 전체가 염증 상태가 되어가는 것이다. - KRD Nihombashi 메디컬 팀의 《몸은 얼굴부터 늙는다》 중에서 -

[금낭화] 금낭화의 꽃말은 '당신을 따르겠습니다' / 토함

서두르면 '사이'를 놓친다 서두르다 보면 여러 가지 일을 단순하게 만듭니다. 흑인지 백인지, 옳은지 그른지, 달콤한지 쓴지, 두 가지 선택밖에 없는 듯 보입니다. 그러나 배움은 그 '사이'에 있습니다. 그 사람이 좋은지 싫은지 한순간에 정하기 전에 '사이'를 맛보면서 만나 봅시다. - 마쓰우라 야타로의《울고 싶은 그대에게》중에서 -

[산괴불주머니] 산들산들 봄바람에 흔들리며 피어난 산괴불주머니·주과황근·암괴불주머니 영상을 담다 / 토함

산괴불주머니 동영상(2021.04.08) blog.daum.net/bori-yo/9656 [산괴불주머니·주과황근·암괴불주머니] 황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원줄기와 가지 끝에 달리는 산 ▲산괴불주머니·주과황근·암괴불주머니(2019.04.15) ▲산괴불주머니·주과황근·암괴불주머니(2019.04.15) blog.daum.net

[꽃동네(1)] 능수벚나무에 벚꽃이 겹으로 피는 능수겹벚, 그 매력에 차를 세우다 / 토함

벚꽃이 눈부시다 수줍게 핀 수선화가 보인다 신작로 길 개나리도 보인다 군락을 이룬 벚꽃이 보인다 손길 닿지 않아도 발길 닿지 않아도 봐주는 이 없어도 본분 다하며 말 없는 몸짓으로 피워내는 그대는 나의 스승입니다 - 이영월의 시집《하늘길 열리면 눈물의 방》에 실린 시〈해미천을 걷다가〉(전문)에서 - blog.daum.net/bori-yo/11255 [수선화] 조류탐방 길에 눈길을 사로잡은 수선화를 급히 담아보다 / 토함 이타적 동기와 목표 욕구는 인간의 필수 조건이다 사람들은 욕구를 부정적인 것으로 보는 경향이 많다. 그러나 사람은 근본적으로 욕구의 동물이다. 모티베이션은 사람들이 욕구를 가졌기 때문 blog.daum.net

[장미조팝] 하얀색 꽃이 흐드러진 장미조팝나무·만첩조팝나무를 만나다 / 토함

어느 날은 해가 나고, 어느 날은 비가 오고 "냄새날 때가 있는가 하면 목욕할 때도 있는 거지. 삶은 늘 새로운 찰나의 연속이야. 누가 공을 던져주는 때가 있는가 하면 그러지 않는 때도 있어. 어느 날은 해가 나고 어느 날은 비가 와서 다 젖게 되는 게 삶이야. 그렇게 변하는 삶에서 변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괴로워지게 되어 있어. 그럴 필요가 없는데 말이야." - 디르크 그로서의《우리가 알고 싶은 삶의 모든 답은 한 마리 개 안에 있다》중에서 -

[경주 벚꽃이 활짝 웃어주던 날] 화사한 벚꽃길을 따라가며 봄을 담다 / 토함

건강 격차 나는 당뇨병 전문의로 지난 38년 동안 20만 명이 넘는 환자를 진료해왔다. 당뇨병 환자들을 돌보며 하루하루를 보내던 나는 얼핏 보기에 똑같이 일하는 직장인들 사이에서 '건강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40세 전후의 직장인 100명이 있다면 그중 20퍼센트가 '건강 상류층'이고 나머지 80퍼센트는 안타깝게도 '건강 하류층'이다. 그 격차를 40세 때는 좀처럼 자각하지 못할 수 있다. 직장인 사이에 건강 격차를 초래하는 것은 어김없이 '매일 먹는 식사'다. 먹는 것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크게 건강을 좌우할 뿐 아니라 업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 마키타 젠지의《식사가 잘못됐습니다》중에서 - 경주 보문 벚꽃관광 동영상

[경주 불국사의 봄] 코로나19로 조용해진 불국사에서 국보 제23호 경주 불국사 청운교와 백운교를 바라보며 신라인의 석조건축 기술의 우수성을 생각하다 / 토함

오직 하나뿐인 돌멩이 오직 하나 지천으로 널린 돌멩이. 모두 똑같아 보일지라도 사실 세상 그 어디에도 똑같은 돌멩이는 없다. 저마다의 모양을 하고, 다른 흉터가 있고, 보아왔던 것도 기억하는 것도 모두 다른... 각자의 서사를 품고 있는, 세상 오직 하나뿐인 돌멩이다. - 박지연의《안아줄게요》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