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환 / 2010.02.23.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없는 돈을 털어서 책을 사라 없는 돈을 털어서 책을 사라. 가능한 한 많은 돈을 쓰라고 말한 것은 그런 마음가짐일 때 사람은 보다 진지하게 책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가능한 한 많은 돈을 쓰라는 것은 인간은 누구나 마음 저 밑바닥에서는 인색하므로 돈을 많이 써버리면 최대한 그 본전을 찾으려는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0.02.27
변산바람꽃 / 2010.02.27. 경주 기적의 값 "얘야 네 동생에게 필요한 기적은 어떤 것이니?" "나도 잘 몰라요." 아이의 눈에 눈물이 그렁그렁 맺혔다. "지금 제 동생이 많이 아파요. 수술을 해야 한대요. 그런데 아빠는 수술비가 없대요. 그래서 내 돈을 쓰려고 해요." "네가 가진 돈은 얼마나 되지?" 시카고에서 온 그 신사가 물었다. 아이..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0.02.27
변산바람꽃, 경주에도 떴다 / 2010.02.27. 경주 올해는 눈이 많이 내렸기 때문에(이틀간 내린 비에 눈은 모두 녹았음) 지난 해보다 며칠 늦게 변산바람꽃을 만날 수 있었다. 울산시 정자 부근에서 복수초와 변산바람꽃이 나왔다는 소식은 며칠 전부터 있었지만 경주에는 소식이 감감했었다. 날이 잔뜩 흐린 가운데도 많은 사람들이 변산바람꽃을 찾.. 들로 산으로/무슨 꽃을 보았니? 2010.02.27
두메부추 / 2009.07.18~09.12.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두메부추 [Allium senescens]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20~30cm이고 긴 타원형의 비늘줄기가 있으며, 잎은 뿌리에서 나고 긴 피침 모양으로 살진 부추 잎과 같다. 8~9월에 꽃대 끝에서 붉은 자주색 꽃이 산형(繖形) 꽃차례로 핀다. 깊은 산에 자라는데 울릉도 등지에 분포한다. .. 들로 산으로/무슨 꽃을 보았니? 2010.02.26
큰땅빈대 / 2009.09.12.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큰-땅빈대 [Chamaesyce maculata]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20~60cm이며 땅빈대나 애기땅빈대보다 잎이 크다. 꽃은 8~9월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털이 없고 9월에 익는다. 풀밭에서 자란다. <다음 국어사전> 들로 산으로/무슨 꽃을 보았니? 2010.02.26
김연아 - 금메달 동영상 / 2010.02.26. 벤쿠버올림픽 < 동영상에서 캪춰한 이미지 입니다 > 김연아!!! 금메달 / 벤쿠버올림픽 동영상 위 글자의 링크된 부분을 눌러보세요. 김연아, 마침내 금빛 꿈 이뤘다 김연아(20·고려대)는 26일(한국시간) 오후 캐나다 밴쿠버 퍼시픽 콜리세움에서 여자 싱글 피겨스케이팅에서 쇼트 78.50점, 프리 150.06점, 합계 228.56..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0.02.26
꽈리 / 2009.05.23~09.12.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꽈리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 길게 옆으로 뻗는 뿌리줄기로부터 높이 60cm 정도의 줄기가 나온다. 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2개가 같이 나오는데 가장자리에는 짧은 털이 나 있다. 꽃은 다소 황색이며, 6-8월경에 잎겨드랑이에 1개씩이 달린다. 한편, 짧.. 들로 산으로/무슨 꽃을 보았니? 2010.02.26
황기(黃芪/黃耆 단너삼) / 2009.05.03~09.12.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황기(黃芪/黃耆) [단너삼 Astragalus membranaceus]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 자라고 약초로 흔히 재배된다. 키는 1m 정도로 전체에 약간의 털이 나고 줄기는 곧추선다. 잎은 6~11쌍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어긋나는데 긴 타원형의 잔잎은 끝이 둔하고 톱니가 없다. .. 들로 산으로/무슨 꽃을 보았니? 2010.02.26
경주 서악리 귀부(龜趺)와 김인문 묘 / 2010.02.18. 경주 위의 사진 왼쪽에 경주서악리귀부(慶州西岳里龜趺)가 보이고 오른쪽에는 김인문묘(金仁問墓)가 있다. 보물 제70호 경주서악리귀부(慶州西岳里龜趺) 소재지 경북 경주시 서악동 1006-1 서악리 태종무열왕릉의 남쪽 길 건너편에 남아있는 것으로,『삼국사기』의 기록이나 서악서원의 영귀루 북쪽 받침에..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2.26
골굴암에는 '보물 제581호 마애여래좌상'이 있다 / 2010.02.16. 경주 보물 제581호 월성골굴암마애여래좌상(月城骨窟庵磨崖如來坐像) 소재지 경북 경주시 양북면 안동리 산 304 기림사 골짜기에 위치한 골굴암의 높은 암벽에 있는 자연굴을 이용하여 만든 12개의 석굴 중 가장 윗부분에 있는 마애불이다. 조선시대 겸재(謙齋) 정선이 그린 ‘골굴석굴’에는 목조전실이 묘..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