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慶州 南山 昌林寺址 三層石塔)] 아침 이슬이 내린 창림사지로 올라가 삼층석탑을 관찰하다 / 토함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2015.08.28) 보물 제1867호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慶州 南山 昌林寺址 三層石塔)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145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는 창림사지는 발굴조사를 통하여 경주 불국사 등 통일신라시대 가람에서 나타나는 층(공간)별 독립된 공간이 .. 문화재와 여행/문화재 다시 보기 2015.08.28
[창림사지 삼층석탑의 아수라(阿修羅)] 아수라는 인도신화에서 다면·다비의 악신이지만 불교에서는 조복을 받아 선신의 역할을 한다 /토함 ▲ 아수라(阿修羅) : 인도신화에서는 다면(多面)·다비(多臂), 즉 얼굴도 많고 팔도 많은 악신으로 간주되었으나, 불교에서는 조복(調伏)을 받아 선신의 역할을 한다. 팔부신중(八部神衆)이란? 팔부중 ·천룡(天龍)팔부중이라고도 한다. ① 천:천계에 거주하는 제신(諸神). 천은 삼계(三界:.. 문화재와 여행/문화재 다시 보기 2014.11.30
아수라는 머리와 팔이 여러개 달린 괴상한 모습을 한 지옥의 왕이다 / 2013.02.02. 경주 창림사지 ▲ 아수라(阿修羅) : 인도신화에서는 다면(多面) ·다비(多臂), 즉 얼굴도 많고 팔도 많은 악신으로 간주되었으나, 불교에서는 조복(調伏)을 받아 선신의 역할을 한다. ▲ 창림사지 삼층석탑의 아수라(阿修羅) 생활 속으로/토함갤러리 2013.02.02
늦은 오후 1시간 산책코스로 남간사지와 창림사지를 택하다 / 2012.02.17. 경주 서남산 기슭 보물 제909호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慶州 南澗寺址 幢竿支柱) 소재지 경북 경주시 탑동 858-6 절에서는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사찰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매달아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의 좌우에 세워 단단히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2.03.03
창림사지 삼층석탑과 쌍귀부, 창림사지는 현재 정밀발굴조사 중 / 2011.11.14. 경주 남산 창림사지(昌林寺址)는 삼국유사에 신라 최초의 궁궐지로 기록된 유서 깊은 곳이다. 창림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고 고려 때까지 존속되어 오다가 조선초기에 폐사되고 탑만 남아있다. 창림사지 삼층석탑 주변의 소나무숲은 정밀발굴조사를 위하여 민둥산으로 바뀌었다. 발..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2.01.25
창림사 터와 천관사지에서 옮겨온 통일신라 팔부중(八部衆) / 2012.01.21. 국립경주박물관 팔부중(八部衆)은 위로는 불법(佛法)을 수호하고 아래로는 중생(衆生)을 교화(敎化)하는 존재입니다. 탑이 부처를 의미하기 때문에 옛사람들은 부처를 지켜주는 팔부중과 사천왕을 탑의 상층기단에 새겼던 것입니다. <참고: 국립경주박물관> 아래 자료는 창림사지 삼층석탑 ..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2.01.22
창림사지 삼층석탑(昌林寺址三層石塔) / 2010.01.28.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昌林寺址三層石塔)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145 창림사지 삼층석탑(昌林寺址三層石塔)에서는 조선 순조(純祖) 24년 (1824)에 제작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수미(首尾)와 무구정광 원기(願記)가 발견되었는데 추사 김정희의 필적으로서 제명(題名)하였다. 원..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2.01
창림사지 쌍귀부(昌林寺址雙龜趺)와 주춧돌 / 2010.01.28. 경주 남산 창림사지 쌍귀부(昌林寺址雙龜趺)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145 창림사지에 있는 쌍귀부는 모가 죽은 사각 대석 위에 두 마리의 거북이가 큰 비석을 등에 지고서 고개를 치켜 들고 유쾌하게 기어가 는 모습을 새긴 것이다. 거북이의 크기는 한 마리의 너비가 86.3cm, 길이 142.5cm, 높이 38.5cm이다. 지금 ..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