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향교(慶州鄕校) / 2010.02.18. 경주 월성동(교리) 시도유형문화재 제191호(경주시) 경주향교(慶州鄕校) 소재지 경북 경주시 교동 17-1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국가교육기관이다. 이 자리는 원래 신라 신문왕 2년(682)에 처음 세워진 국학이 있던 곳이다. 경주 향교가 처음 지어진 시기는 잘 알..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3.04
신라신문왕릉 / 2010.02.18. 경주 월성동 사적 제181호 신라신문왕릉(新羅神文王陵) 소재지 경북 경주시 배반동 453-1 신라 31대 신문왕(재위 681∼692)의 무덤이다. 신문왕은 문무왕의 아들로 귀족들의 반란을 진압한 후 신라 중대 전제왕권을 확고히 하였다. 국립교육기관인 국학을 설립하고, 지방통치를 위해 9주5소경제도를 설치하였고, 고구려..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3.04
서악리고분군(西岳里古墳群) / 2010.02.18. 경주 사적 제142호 서악리고분군(西岳里古墳群) 소재지 경북 경주시 서악동 750 경주 서악동 무열왕릉 바로 뒷편의 구릉에 분포하는 4개의 대형 무덤을 가리킨다. 이곳의 무덤들은 경주분지의 대형 무덤과 비슷한 형태로 둥글게 흙을 쌓아올린 원형 봉토무덤이다. 아직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내부구조..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3.02
경주 서악리 귀부(龜趺)와 김인문 묘 / 2010.02.18. 경주 위의 사진 왼쪽에 경주서악리귀부(慶州西岳里龜趺)가 보이고 오른쪽에는 김인문묘(金仁問墓)가 있다. 보물 제70호 경주서악리귀부(慶州西岳里龜趺) 소재지 경북 경주시 서악동 1006-1 서악리 태종무열왕릉의 남쪽 길 건너편에 남아있는 것으로,『삼국사기』의 기록이나 서악서원의 영귀루 북쪽 받침에..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2.26
골굴암에는 '보물 제581호 마애여래좌상'이 있다 / 2010.02.16. 경주 보물 제581호 월성골굴암마애여래좌상(月城骨窟庵磨崖如來坐像) 소재지 경북 경주시 양북면 안동리 산 304 기림사 골짜기에 위치한 골굴암의 높은 암벽에 있는 자연굴을 이용하여 만든 12개의 석굴 중 가장 윗부분에 있는 마애불이다. 조선시대 겸재(謙齋) 정선이 그린 ‘골굴석굴’에는 목조전실이 묘..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2.26
월성 골굴암 마애여래좌상(月城骨窟庵磨崖如來坐像) / 2010.02.16. 경주 보물 제581호 월성골굴암마애여래좌상(月城骨窟庵磨崖如來坐像) 소재지 경북 경주시 양북면 안동리 산 304 기림사 골짜기에 위치한 골굴암의 높은 암벽에 있는 자연굴을 이용하여 만든 12개의 석굴 중 가장 윗부분에 있는 마애불이다. 조선시대 겸재(謙齋) 정선이 그린 ‘골굴석굴’에는 목조전실이 묘..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2.22
밤에 본 '배리석불입상'과 통인(通印) / 2010.02.07. 경주 남산 통인(通印) <=> '시무외인'(오른손 모양) + '여원인'(왼손 모양) '시무외인'(두려워 말라)과 '여원인'(원하는 바를 다 들어 주겠다)을 합친 수인(手印)을 말한다. (아래 석불입상 사진이 통인이다) 교리상 비슷한 성격을 가진 두 개의 수인을 합치게 된 것은 보다 많은 자비를 베풀 수 있다고 믿었기 때..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2.21
골굴암 오층석탑에 새겨진 불상과 수인(手印) / 2010.02.16. 경주 선정인(禪定印) 부처님께서 선정에 든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결가부좌한 상이 취하는 수인이다. 삼마지인(三摩地印) 또는 삼매인(三昧印)이라고도 하며 불상의 종류에 따라 법계정인(法界定印), 등지인(等持印)이라 부르기 도 한다. 원래는 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 금강좌에 앉아 깊은 생각에 잠겨 있..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2.20
해안선을 따라 길게 펼쳐진 양남 주상절리 / 2010.02.16. 경주 양남면 진리 경북 경주시 양남면 하서리 양남면사무소에서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해안에 방파제가 있다. 이 방파제에서부터 해변을 따라 가면서 주상절리가 아주 길게 펼쳐져 있다. 저 멀리 남쪽으로 양남면 소재지가 보인다. 바닷가 가까운 곳에는 99칸 한옥을 지을 것 처럼 잘 다듬은 목재를 야적장에 잠시 쌓..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2.17
경주 양남면 양타바위(양타암) / 2010.02.16. 경주 경주 양남면의 바닷가에는 꾀 넓은 지역에 주상절리가 펼쳐저 있습니다. 파도가 심하지 않은 날에는 가까이 접근해서 볼 수도 있고, 파도가 있는 날도 방파제에서 해변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면 주상절리에 쉽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 주상절리는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양의 머리를 하고 몸은 낙타를 .. 문화재와 여행/어딜 다녀왔니? 201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