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란도란 속삭이는 분홍색 노루귀 / 2011.03.19. 구미산 내가 지금 하는 일 지금 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지금 내가 하는 일이 아무 쓸모가 없는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일을 하는 나는 그것이 아무 쓸모가 없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그러면 그 일을 무사히 끝마칠 수 없기 때문이다. - 랄프 왈도 에머슨의《스스로 행복한 사람》중에서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3.20
산불조심 / 2011.03.19. 경주 현곡면 함께 꿈꾸는 세상 세상이 무섭다고 지레 겁먹지 마라. 너희 부모도 나도 즐거이 살아온 세상이다. 세상은 너희의 생각보다, 훨씬 더 아름답단다. 겁내지 마라. 사랑한다... - 노희경의《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중에서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3.19
옥옹(玉翁) / 2011.03.05.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신이 손을 내밀 때까지 그 후로 나는 어려운 문제에 봉착할 때마다 나 자신은 물론 직원들에게 이렇게 말한다. "신이 손을 뻗어 도와주고 싶을 정도로 일에 전념하라. 그러면 아무리 고통스러운 일일지라도 반드시 신이 손을 내밀 것이고, 반드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나모리 가즈오의《왜 일하..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3.17
홍매화가 봄을 재촉한다 / 2011.03.13. 경주 황성동 재앙 1600년 이후 484종의 척추동물과 654종의 식물이 멸종했다. 고생물학자들의 말을 빌자면, 만일 재앙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에 생물종의 평균 수명은 대략 500만 년 정도라고 한다. 1,000만 종으로 추정되는 현재의 생물 다양성을 고려한다면, 금세기 동안 평균 200종이 사라지는 것이다. 20세기에 사라진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3.14
봄까치꽃(큰개불알풀) / 2011.03.06. 울산 어물동 직감 인간의 직감을 만만하게 봐서는 안 된다. 일상생활을 생각해보면 알겠지만, 인간은 눈앞에서 일어나는 일을 일일이 이성과 논리성만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하다못해 라면을 먹을 때도 '맛있다!', 끝내준다!', '훌륭하다!' 정도면 충분하다. '이 가게, 지저분하지만 맛은 있을 것 같다'는 직감으로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3.12
어물동의 동자승 / 2011.03.06. 울산 어물동 작은 것의 소중함 내 것이 아닌 것을 보지 않게 내 것이 아닌 것을 탐내지 않게 내 것이 아닌 것에 부러워하지 않게 하소서 아주 작은 것에도 만족해하며 살 수 있게 발길에 차이는 작은 풀꽃도 사랑하게 작은 것의 소중함을 감사하며 살 수 있게 하소서 - 안숙현의《작은 것의 소중함》중에서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3.12
꽃기린 / 2011.03.05.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원초적 행복 먹고 자고 싸는 것은 삶의 기본이다. 그러니 이를 잘할 때 오는 행복감은 다른 어떤 것보다 '원초적인 행복'일 것이다. 자연스러운 생리작용에서 오는 행복은 모든 행복의 근간이 된다. 그러니 원초적으로 행복하다면 삶에서 어떤 불행을 겪더라도 쉽게 치유되지 않겠나. - 김광화의《피어..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3.10
방울 / 2011.03.05.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가까이 있는 것들 우리는 가까이 있는 것이 아름답고 경이롭다는 것을 깨닫고 놀란다. 가까운 것이 먼 것을 설명한다. 한 방울의 물은 작은 바다이다. 한 명의 사람은 자연 전체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평범한 것들의 가치를 인식하면, 지금껏 알지 못했던 여러 가지 깨달음을 얻을 것이다. - 랄프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3.10
어물동에서 만난 노루귀 / 2011.03.06. 울산 말의 힘, 글의 힘 내 입에서 나와 상대의 귀로 흘러들어 가는 말 한마디가 살아가면서 얼마나 많은 역할을 해내고 있는지를 우리는 항상 새겨야 한다. 말을 내뱉는 것은 쉽고 순식간이지만, 그 말에 대한 책임은 평생토록 가져가야 한다. 말이란게 이토록 어렵고 중요하다. 말이 주는 놀라운 힘을 믿고,..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3.08
천손초 / 2011.03.05.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이야기 들려주기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려면 먼저 이야기를 알아야 한다. 이야기를 통해서 기죽은 아이에게는 용기를 불어넣고, 슬픔에 빠진 아이에게는 꿈을 심어 줄 수 있다. 이래서 이야기는 약도 되고 매도 된다. 힘과 용기를 불어넣어 주는 이야기가 약이라면 잘못을 깨닫게 하는 이야기는 .. 생활 속으로/이런 이야기가 좋아요 2011.03.07